오랜만에 한글 컨텐츠 가끔 키온희(Keone)가 공유하는 기술 관련 글을 보며 '뭔가 대단한 것 같긴 한데, 그래서 정확히 뭐가 좋다는 거지?' 라고 궁금해하셨던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JIT? - 컴파일러, 캐시, 비동기... 이런 복잡한거 알필요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좋은 점은? - 속도는 빨라지고, 가스비(수수료)는 저렴해집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이걸 왜 하는가'입니다 - 단순히 속도가 개선된다는 사실보다, 키온희가 왜 이 주제를 메인 트윗에 걸어둘 정도로 중요하게 여기는지가 핵심입니다. 1. 남들이 가지 않는 길 - 대부분의 팀은 이런 근본적인(low-level) 영역까지는 손대지 않습니다. - 시도하더라도 '찍먹' 수준에 그치고, 실제 제품에 깊이 녹여내려는 경우는 드뭅니다. 2.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이 집념이 팀은 합의, 실행, 네트워크 등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를 이미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습니다. - 이제는 그보다 더 깊은 곳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려 합니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 전담팀을 운영한다것은 매우 불리쉬합니다. - 이는 마케팅을 위한 기술 검증(POC)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3. 애플과 같은 완성도 추구 - 이러한 모습은 마치 애플(Apple)과 같습니다. - 아이폰이 매년 새로운 모델을 내놓을 때마다 '어떻게 이런 디테일까지 신경 썼을까' 감탄하게 되는 것처럼, 이 팀도 최고의 완성도를 위해 모든 병목 지점에 전문가를 배치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합니다. - 키온희(Keone)가 중요하게 언급하는 기술들은 애플의 WWDC 신제품 발표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글의 대부분은, "우리는 또 한번 매스어답션에 가까워졌다" , "우리 커뮤니티와 에코시스템은 또한번 그로스했다" 를 증명하는 글에 가깝습니다. ----------------------------------------------- "모나드에서 하는거 사실 별거 아니다" "그냥 개념알고 코드 몇줄 짜면 되는거다 어려운거 아니다" "그거 별거 아니다" 반론: - 물론 '개념 자체는 이미 알려진 것이고, 코드 몇 줄로 구현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 네, 개념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어려움은 그 개념에 수많은 '맥락(Context)'이 더해질 때 시작됩니다. - 하나의 기술을 다른 모든 영역과 조화롭게 융합시키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것은 단순히 개념을 아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 L1 블록체인을 직접 구축해 본 사람이라면, 코어의 모든 영역을 깊이 연구하고 실제 제품으로 완성하는 것이 얼마나 엄청나게 어려운 일인지 공감할 것입니다. @keoneHD @koreanads @monad_dev @monad
Keone Hon ⨀
Keone Hon ⨀17 ago, 02:43
Llevar la compilación JIT a la EVM La compilación Just-in-Time (JIT) se cita con frecuencia como una idea interesante sobre cómo optimizar la EVM. Pero hay desafíos: - Es difícil conseguir que todo el comportamiento exacto (cargas de gas, manejo de errores) coincida. Por ejemplo, incluso si el compilador simplifica el código, se deben conservar las cargas de gas originales - La compilación es costosa, por lo que no todo debe compilarse y no se puede hacer sobre la marcha sin afectar la latencia - Los artefactos compilados son mucho más grandes que el código de bytes original - Sacar el máximo provecho del compilador requiere creatividad para abordar facetas únicas del problema. Se requiere un montón de investigación, evaluación comparativa y optimización repetida de la generación de código de máquina El equipo de @category_xyz impulsó y creó un potente compilador que aborda todos estos problemas, lo que permite que el código del contrato se ejecute de manera más rápida y eficiente que en las implementaciones de EVM existentes. El cliente Monad analiza los contratos utilizados con frecuencia (midiendo por el gas acumulado consumido) y almacena en caché el código nativo para que las llamadas posteriores se ejecuten de manera más eficiente. La compilación se ejecuta de forma asincrónica; antes de que finalice la compilación, la máquina virtual ejecuta código mediante un intérprete independiente de baja latencia y altamente optimizado. ¡Esto ya está disponible en Monad Testnet a partir de la actualización del martes! Consulte los documentos para obtener información adicional, recién salida de la imprenta. ¡Gracias a @__inshorts y al resto del equipo de compiladores de Category Labs por un trabajo bien hecho!
7.66K